‘The State of Generative AI’ 2024년 2분기 보고서

기업들의 생성형AI 도입 본격화

딜로이트는 생성형AI의 도입 현황, 성과, 과제를 추적하는 설문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해 ‘The State of Generative AI’ 보고서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2024년 2분기 보고서에서 최신 결과를 확인해 보세요.

 

 

우리가 주목하는 트렌드

2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AI를 가장 빠르게 도입하기 시작한 ‘Fast Adopter’ 기업들은 신기술에 대한 놀라움과 매료 단계를 넘어, 장애물을 극복하고 가치를 실현하는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이들의 차별점은 무엇일까요? 전 세계 약 2,000명의 기업 리더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Fast Adopter’ 기업들은 매우 높은 확신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한 추진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아래에서 이들 기업의 사고방식을 들여다보고, 더욱 다양한 트렌드를 확인해 보세요.

 

 

Fast Adopter

‘Fast Adopter’와 ‘Slow Mover’는 생성형AI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서 큰 격차가 나타났습니다. ‘Fast Adopter’ 기업들은 생성형AI에 대해 ‘놀라움’(Excitement)을 느끼는 비율이 ‘불확실성’(Uncertainty)이나 ‘혼란’(Confusion)을 느낀 비율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습니다.

미래를 결정해야 하는 순간: 기업의 생성형AI 도입 현황Q2 리포트를 통해 생성형AI를 통한 기업들의 차별화 방안을 확인해 보세요.

가치 창출

기대되는 이점
 

생성형AI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가장 기대하는 이점은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입니다.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ROI를 추구함에 따라, 가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전사 차원으로 전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기대의 실현
 

많은 신기술이 그렇듯이 기대하는 바가 실현될 때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효율성이 크게 될 것으로 기대한 응답자 56%를 기록했지만, 실제로 효율성이 개선됐다는 비율은 27%에 그쳤습니다. 한편, 혁신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 응답자는 31%에 불과했지만, 혁신이 실현되고 있다는 응답자는 이보다 많은 35%를 기록했습니다.

규모 확대

더욱 신속한 도입과 접근성 확장
 

가장 높은 수준의 생성형AI 전문성을 갖춘 기업들은 도입 규모도 빠르게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많은 응답자가 직원 중 일부에게만 생성형AI 툴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공하고 있다고 답했지만, 보다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보유한 기업에서는 AI 툴을 보다 광범위하게 제공하고 더 많은 부서에서 활용을 유도하고 있었습니다.

효율성 개선을 통해 얻은 자원의 재투자
 

AI 이니셔티브를 확장해 효율성 개선에 성공했다면, 기업들은 이렇게 얻은 시간과 비용 등 자원을 어디에 재투자하려고 할까요? 대부분 혁신을 추진하고 운영을 개선함으로써 비즈니스의 양쪽 측면에서 가치를 창출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뢰 구축

AI에 대한 신뢰 개선 
 

AI 전문성을 갖춘 기업들은 AI 관련 신뢰와 리스크 우려에도 도입을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은 생성형AI를 활용하게 되면서 모든 형태의 AI에 대한 신뢰가 개선됐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리스크를 충분히 관리하면서 AI를 빠르게 도입할 수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견고한 신뢰 시스템 구축
 

AI 도입의 규모를 성공적으로 확장하려면 조직 구성원들의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서베이 결과, 소속 조직이 생성형AI에 대한 신뢰도와 활용도를 지표로 측정하고 있다는 응답은 36%에 불과했습니다. 또한 생성형AI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세스에 주력하고 있다는 응답도 절반이 채 되지 않았습니다. 기업들은 생성형AI의 투명성, 익숙한 활용, 책임감, 실질적인 안전장치 마련에 대한 노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인재 전략

인재 전략 재조정
 

기업들은 AI 목표의 대규모 달성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로 테크 인재 및 스킬(skill, 실무능력) 부족을 꼽았습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생성형AI로 인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향후 2년 내 인재 전략을 수정, 발전시킬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새로운 인재와 스킬 추구
 

서베이 결과, 응답자 약 40%가 생성형AI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기 위해 향후 12개월 동안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라고 답했습니다. 기업들의 생성형AI 여정이 심화될수록, 테크 역량과 인적 역량을 모두 갖춘 인재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시리즈 소개
 

‘The State of Generative AI in the Enterprise’는 Deloitte AI Institute™가 생성형AI 도입 트렌드, 실행 방식, 도전 과제를 연구한 결과를 모은 보고서 시리즈입니다.

조사 방법론
 

딜로이트는 분기마다 실시하는 펄스서베이(pulse survey)를 통해 비즈니스, 빠르게 변화하는 기업들의 생성형AI 도입 트렌드를 파악하여, 테크, 공공 부문의 리더들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서베이는 2023년 10~12월 전 세계 16개국에서 6대 산업에 종사하는 2,800명 이상의 C-레벨 응답자를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두 번째 서베이는 2024년 1~2월 전 세계 6개국에서 AI 분야 리더 1,982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습니다.

Our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