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CM Newsletter (3월호 2019년)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의 리스크자문 본부에서는 최근의 위기관리 및 BCM(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분야 이슈와 소식을 모아 'Crisis Management Newsletter'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각 기사를 클릭하시면 전체적인 세부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영진 위기대응 리더십의 필요성
- 위기대응에 대한 통찰력

오늘날 기업들은 끝없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중요한 정치적 또는 경제적 변화, 공격적인 기술, 행동 변화를 주도하는 SNS, 예측 불가한 기후변화, 지속적인 테러 협박과 사이버테러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들은 끊임없이 노력 중에 있다. 리스크, 이슈 문제점 그리고 위기 상황은 아무런 경고 없이 갑작스럽게 다가온다. 그러므로 기업이 위기에 대비해야 하는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이러한 준비성을 갖추기 위해 기업은 위기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고 조직된 계획을 시행해야 한다.
본 문서는 위기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업에게 효과적인 대응과 권장사항을 제공할 수 있도록 위기관리 측면에 새로운 통찰력을 가지는 데 도움을 주고자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위기에도 효과적인 대응의 가장 중요한 측면인 리더십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KT 아현지사 화재로 보는 비즈니스연속성관리의 필요성

지난해 11월 24일 서울 서대문구 KT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로 서울 5개구 일대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하여 금융 서비스, 정보 통신 등이 마비되어 사회적 혼란을 낳았다. KT는 국가기반 통신시설임에도 불구하고 통신구에 화재가 발생했으며, 이에 체계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던 것은 국가 및 기업 차원에서 연속성 체계가 부재했던 것이라 볼 수 있다.

매해 재난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매번 대처가 미비하며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는 것은 이에 대한 확실한 대비책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하여 기업 및 공공분야 정부 산하기관은 비즈니스연속성계획 수립이 시급하다. 특히 재해∙재난 시 업무를 재개할 수 있도록 공공분야 기관은 근본적으로 조직 기능 식별 및 중단 시 피해 영향도를 분석해야 하며, 이는 미국의 기능연속성(COOP)을 통해 자세히 알아본다.

효과적 재난대응을 위한 경영진의 역할

현대 사회에서는 역동적인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으로 인해 예전보다 더 크고 다양하고 복잡한 위기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의 위기관리 프로세스에서는 이렇게 대형화 및 복잡화되어 발생하고 있는 사건∙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 준비를 적절하게 고려하지 못한 체 운영 중에 있으며, 이에 대한 경영진과 이사회의 인식 또한 부족하다. 한 조사에 의하면 다수의 이사회 구성원(76%)은 조직의 위기 대비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러한 자신감은 실제 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확실한 증거가 뒷받침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문서는 일반 기업들의 재난 대응 시 리스크관리의 제한점들을 명시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난 전, 재난 시, 재난 후에 거버넌스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이사회의 역할을 제시한다.

자연재해 등 기업 위기에 대처하는 자금계획
- Capital projects: Managing the risk of natural disasters

최근 허리케인 하비(Hurricanes Harvey), 어마(Irma), 마리아(Maria) 등 예기치 않은 자연재해 사고 관련 내용들이 언론기관의 헤드라인으로 도배되었다.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 후폭풍으로 조직 규모와 상관없이 업무 중단의 위기 상황에 직면하였을 경우, 이를 미리 준비하고 관리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자본 및 리스크 관리 원칙을 기반으로 재무 계획들을 수립하고 운영하는 것은 자연재해로 인한 위기 상황에 대비하고 유연성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자연재해 발생으로 재정적 손실에 대비하기 위한 기업의 자본·자산 관리 계획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실천 Checklist를 소개한다.

누구나 감염될 수 있는 인플루엔자를 대비하기 위한 조직 운영방안

인플루엔자와 같은 감염병은 실생활에서 다수의 일반인 누구에게 직면할 수 있는 위험요소이다. 감염병 발병 및 확산으로 우리의 일터 및 근무 공간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결국 조직의 업무 중단을 초래할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대비한 임직원 관리 계획을 비롯하여 업무 연속성/지속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본문에서는 감염병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조직 內 탄력근무제, 정/부제 방안, 대안 근무(재택근무) 및 교육/휴가 방안 등을 권장하고 있으며, 비상시 내/외부 커뮤니케이션 등의 강조로 임직원 관리 계획(인력 관점 업무연속성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청결한 환경 조성 같은 인플루엔자에 대비한 직장 내 관리지침을 소개한다.

귀하께 도움이 되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