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금융산업연구소 Newsletter (2021년, 8월호)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금융산업연구소에서는 회계/감사 분야의 최근 이슈와 소식을 모아 'Korean Accounting & Audit Newsletter'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아래 각 기사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전체적인 세부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Newsletter 전문 PDF 파일 내려받기

금융산업연구소 Newsletter의 전체 내용이 담긴 PDF 파일을 내려받고자 하시는 경우 '첨부파일 다운로드' 버튼을 이용해 파일을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Deloitte의 IASPLUS.com 주요 뉴스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의 ‘무형의 자산(Intangibles)’에 대한 토론서

27 Aug 2021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은 ‘무형의 자산(Intangibles)’에 대한 더 우수한 정보제공 – 최선의 방법은?’ 이라는 주제의 토론서(discussion paper)를 발표했습니다.

이 토론서는 재무제표의 무형자산을 포함한 ‘무형의 자산(Intangibles)’에 대한 정보가 그 어느때 보다도 기업을 평가하는데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그 정보가 충분히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아서 효용성이 줄어드는 현상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런 부족한 정보 때문에 회사의 가치가 왜곡되거나, 자본시장이 비효율적으로 움직이며, 경영진이 제대로 관리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어렵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도 자생적으로 성장하는 기업과 M&A를 통해 성장하는 기업의 정보를 비교하기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내부 개발된 무형자산은 특정 제약조건하에서만 제한적으로 인식하는데 반해 취득하는 무형자산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무형자산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이 토론서에서는 더 발전된 무형의 자산관련 정보제공을 위해서 3가지 접근 방법을 제안합니다.

  • 주재무제표에서 인식과 측정
  • 재무제표주석 또는 경영진이 발표하는 보고서에서 자세한 정보제공
  • 재무제표주석 또는 경영진이 발표하는 보고서에서 미래 효익을 위해 발생하는 비용과 관련된 리스크/효익관련 정보제공

이 토론서는 현재의 재무보고기준에 얽매이지 않고, 회사가 통제할 수는 없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효익과 관련된 분야도 논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준서상의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이라는 용어 대신, ‘무형의 자산(Intangibles)’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 보도자료에서는 향후 무형의 자산에 대한 공시와 가치창출여부가 재무제표 및 지속가능성 관련한 중요한 요소라고 보도하고 있습니다.

이 토론서에 대한 의견은 2022년 6월 30일까지 제출하면 됩니다.

EFRAG 웹사이트의 다음 정보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IASB 국제회계기준위원회 (IASB) ‘투자자 안내사항’ 뉴스레터

26 Aug 2021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에서 ‘투자자 안내사항’ 최신호를 발행했습니다. 최근 도입된 국제회계기준, 개정 진행중인 사항들 및 이들이 기업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 profile — Philip Robinson, Moody’s 회계전문가 대담 내용
  • We need your views: 사업결함, MD&A, 공시관련 사항에 대한 의견제출 요청
  • Stay up to date: IASB, IFRS관련 뉴스 등 회계업계 동향
  • Resources for investors: 웨비나 및 PPT Link제공

자세한 내용은  IASB의 Investor Update newsletter 를 참고해 주세요.

 

9월 예정된 세계회계기준제정기구(WSS) 컨퍼런스

26 Aug 2021

회계기준 담당자들의 컨퍼런스가 2021년 9월 27-28 양일간 개최됩니다. 모두 가상회의공간을 사용하며, 사전프로그램과 기타정보들은 IASB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lASB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초인플레이션 경제 (Hyperinflationary economies) - IPTF watch list가 업데이트

23 Aug 2021

IAS 29 '초인플레이션 경제에서의 재무보고'는 특정 국가의 경제가 초인플레이션 경제인지를 평가하기 위한 일반적인 지침을 정의하고 제공합니다. 그러나 IASB는 특정 국가를 초인플레이션 경제라고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CAQ(Center for Audit Quality)의 IPTF(International Practices Task Force)는 '높은 인플레이션' 상태의 국가를 모니터링합니다. IPTF의 높은 인플레이션 상태의 국가에 대한 모니터링 목적은 US GAAP을 적용하기 위한 것이며, 그러한 국가를 식별하는 기준은 IAS 29에 따른 '초인플레이션 경제'를 식별하는 기준과 유사합니다.

2021년 5월 18일 진행된 IPTF meeting에 따른 discussion 문서는 현재 이용이 가능하며, 동 문서는 다음과 같은 IPTF의 관점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3년 누적 인플레이션 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국가

  • Argentina
  • Iran
  • Lebanon 
  • South Sudan 
  • Sudan 
  • Venezuela 
  • Zimbabwe

추정 3년 누적 인플레이션 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국가

  • Suriname

최근에 3년 누적 인플레이션 비율이 100%를 초과한 적이 있는 국가

  • 해당 국가 없음

개별 기간에 인플레이션이 급증한 이후, 최근 3년 누적 인플레이션 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국가

  • 해당 국가 없음

3년 누적 인플레이션 비율이 70%에서 100% 사이이거나 당기에 인플레이션의 유의적인(25% 이상) 증가가 예상되는 국가

  • Angola 
  • Haiti 
  • Liberia 
  • Yemen

 

IPTF는 3년 누적 인플레이션률이 100%를 초과하거나 동 모니터링에 포함되었어야 하나, 사용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분석에 포함되지 않는 추가 국가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시리아를 예로 들고 있음.)

전체 국가에 대한 리스트, 분석에 사용된 정확한 수치, 분석 수치의 계산에 대한 세부 설명과 TF의 관찰 내용 등은 CAQ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FRS재단이사회 - 3명의 IFRS 해석위원회위원 임명

17 Aug 2021

IFRS 재단이사회는 Andre Besson, Karen Higgins 및 M P Vijay Kumar를 IFRS 해석위원회 위원으로 임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임기는 즉시 시작하며 3년 동안 유효합니다. 이들은 전 해석위원회 위원인 한종수, Robert Uhl, Bertrand Perrin을 대신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IASB’s 웹사이트의 보도자료를 참고부탁드립니다.

 

2021년 6월 ASAF회의 요약

11 Aug 2021

IASB Staff은 2021년 6월 28~29일 원격 참여를 통해 개최된 회계기준자문포럼 (ASAF)의 회의 내용을 발표하였습니다.

미팅에서 다뤘던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괄호 안의 숫자는 요약의 문단을 의미):

  • 동일지배하의 사업결합(1–13): ASAF 위원들은 IASB의 활동을 논의하였고, 동일지배하에 사업결합을 보고하기 위해 취득법과 장부가치법을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습니다.
  • 제3차 안건협의 (14–39): ASAF 위원들은 IASB 활동의 전략적 방향과 균형, 재무보고 쟁점의 우선 순위 평가 기준, 업무계획에 추가될 수 있는 재무보고 쟁점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지속가능성에 대한 공시(40–44): ASAF 위원들은 IFRS 재단이사회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프로젝트에 대한 최신정보를 제공받았습니다.
  • 요율규제활동(45–66): ASAF 위원들은 규제자산 및 규제부채의 공개초안에 대한 견해를 공유했습니다. 특히 위원들은 범위, 허용된 총 보상, 측정, IFRS 12와의 상호 작용 및 기타 주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영업권과 손상(67–84): ASAF 위원들은 IASB가 재심의시에 고려해야할 주요 항목과 IASB의 예비적 견해와 US GAAP과의 정합성과 관련된 쟁점에 대한 그들의 초기 견해를 공유하였다.
  • 공시개선— 특정 기준서의 공시사항 검토(85–91): ASAF 위원들은 “IFRS의 공시 요구사항 초안- 시범적 접근법”에 대하여 논의하였습니다.
  • 안건에 대한 계획(92–96): ASAF 위원들은 2021년 10월 ASAF 회의의 주제를 논의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IASB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국제공공회계기준위원회 (IPSASB) 회계기준 개선작업

06 Aug 2021

국제공공부문회계기준위원회는 국제공공부문회계기준(IPSAS)에 대한 ‘IPSAS ED 80 Improvements’의 공개 초안을 발표했습니다.

‘IPSAS ED 80 Improvements’는 IASB의 발간물과 이해관계자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한 의견을 구합니다. 의견수렴은 2021년 9월 30일까지 요청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IPSASB의 보도자료를 참고해 주세요.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의 IFRS 17 일부 개정에 대한 의견 제출 요청

05 Aug 2021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IASB 공개초안: IFRS17과 IFRS9 최초 적용-비교정보’에 대한 의견서 초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의견서 초안에 따르면, EFRAG는 IASB의 신속한 의사결정 및 발표한 공개초안에 대한 감사표시를 했습니다. 또한 EFRAG는 유럽보험사들이 제기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IASB가 언급하였음을 언급했습니다. 또한 EFRAG는 현재 상황에 대한 분명한 개선인 것으로 보아, IASB가 발표한 공개초안에 전반적으로 동의하였습니다. 

EFRAG 의견서 초안에 대한 의견수렴기간은 2021년 9월 15일까지입니다. 이와 관련한 추가 정보가 필요한 경우 EFRAG 사이트의 의견서 초안 또는 발표된 보도자료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국제공공회계기준원회IPSASB)의 추가프로젝트

02 Aug 2021

국제공공부문회계기준위원회는 2019년~2023년 중 계획한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완료됨에 따라 IPSASB는 남은 일정 동안 수행할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을 구하고 있습니다.

IPSASB는 이용가능한 가용재원을 고려하여 두 가지 프로젝트를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 재무제표 표시(Present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 공공부문 회계처리(Differential Reporting)

 

추가적으로 IPSASB는 아래의 소규모 프로젝트를 추가하는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 IPSAS 21 비현금창출자산의 손상(Impairment of Non-Cash-Generating Assets)
  • IPSAS 31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
  • IPSAS 33 국제공공부문회계기준의 최초채택(First-Time Adoption of Accrual Basis IPSASs)
  • 중요성판단(Making Materiality Judgements)

 

추가적인 의견은 2021년 11월 30일까지 제출하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IPSASB 웹사이트 website 를 참고해 주세요.

국제가치평가기준위원회(IVSC) 개정된 국제가치평가기준(IVS)를 발표

02 Aug 2021

국제가치평가기준위원회 (The International Valuation Standards Council ‘IVSC’)는 개정된 국제가치평가기준(International Valuation Standards ‘IVSs’) 을 발표했습니다. 개정된 기준은 2022년 1월 31일부터 효력이 발생하지만, 조기 적용도 허용하고 있습니다.

개정사항은 무형자산의 평가의 하부항목으로 재고자산 평가에 대한 새로운 챕터가 추가 되었고, 2020 및2021년 자문사항을 반영하였으며, 도입부분, 색인, IVS개념체계, IVS 104, IVS 105, IVS 200, and IVS 400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IVSC 웹사이트의 보도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SEC 동향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 재무정보 수집을 위한 API 공개

19 Aug 2021

미국증권거래위원회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를 이용하여 상장기업의 재무정보(financial statement data)를 활용한 웹 및 모바일 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API는 공개 기업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그 어느 때보다 더 쉽게 액세스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무료 API는 연차 및 분기 보고서(Forms 8-K, 20-F, 40-F 및 6-K)를 포함한 재무제표의 XBRL(eXtensible Business Reporting Language) 데이터는 물론 파일러별 EDGAR 제출 내역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SEC는 앞으로 더 많은 데이터 세트를 추가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SEC 웹사이트의 보도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PCAOB 최근보고서

금융업 (Brokers and Dealers) 감사관련 회계법인 및 감사업무 검사결과 보고서 : 

PCAOB는 매년 회계법인의 감사품질 평가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2021년 8월 19일 발표한 “Brokers and Dealers” 감사업무에 대한 품질검토 결과 최근 3년간 “감사절차미비점(Deficiency)”가 있었던 회계법인 수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금융감독원 회계포탈

국제회계기준(IFRS) 해석위원회 안건결정 동향('21.2분기)

국제회계기준(IFRS) 해석위원회(Interpretations Committee)의 IFRS 제·개정 및 해석에 대한 논의 사항을 정리하여 소개하는 금융감독원 자료입니다.

1. 근무기간에 따른 혜택 귀속 

2. 실질이자율로 인한 현금흐름의 변동위험회피  

3. 재고자산 판매에 필요한 비용

4. 더 이상 계속기업이 아닌 기업에 적용되는 회계처리

자세한 내용은 금감원 회계포탈의 원문을 참고해 주세요.

주요 회계관련 뉴스 Link

Accounting News Clips (검색기간 2021.08.01 ~ 2021-08-29)

 

1. 2020회계감사서 외부감사인이 가장 주의 기울인 항목 (이데일리, 2021-08-29)

2. 영국 '공유감사 도입' 추진에 빅4 "차라리 감사 상한제" (내일신문, 2021-08-26)

3. 서정우 KSSB 준비위원장·김의형 회계기준원장 “첫 ESG 공시 기준은 ‘기후 변화’ (조선비즈, 2021-08-23)

4. 회계학계 "감사 범위, 중장기적으로 비재무정보까지 확대 가능성" (서울경제, 2021-08-20)

5. 굿센 "아마존·네이버 클라우드로 상장사 내부회계관리" (아주경제, 2021-08-17)

6. 한국증권금융, ‘분식회계’ 감지 못한 회계법인 상대 손배소 최종 패소 (세계일보, 2021-08-13)

7. 檢 코오롱 '인보사' 기술수출 회계처리에 문제…"자회사 상장과 관련 있어" (아주경제, 2021-08-11)

8. 비싸고 까다로운 빅4 회계법인…'Big4 기피 현상' 심화 (조세일보, 2021-08-10)

9. "기업 사내유보금 전체가 현금? 회계 지식 없는 것…중복과세 개선 필요" (이투데이, 2021-08-05)

10. 新외감법 5년간 감사보수 급증…"중소기업 회계비용 부담 심각" (한국경제, 2021-08-04)

11. 언스트앤영, 부정 수주 혐의로 SEC에 100억원대 지불 합의 (연합뉴스, 2021-08-03)

12. 'IFRS 종주국' 영국서도 "회계개혁" 목소리···도전에 놓인 IFRS (서울경제, 2021-08-02)

13. 회계기준 '공론장' 미미...심판원 도입·기준원 강화가 돌파구 (서울경제, 2021-08-02)

14. ‘준 돈’과 ‘받은 돈’이 서로 다르다?…‘합의금 1조’ LG와 SK의 엇갈린 회계처리 이유는 (한겨레, 2021-08-02)

Glossary

  • ASAF : Accounting Standards Advisory Forum 회계기준자문포럼
  • CAQ : Center for Audit Quality 감사품질센터 
  • DP : Discussion Paper 토론서
  • EFRAG : European Financial Reporting Advisory Group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
  • IASB :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국제회계기준위원회
  • IPTF : International Practices Task Force국제실무전문위원회
  • IFRS IC : IFRS Interpretations Committee 국제회계기준해석위원회
  • IPSASB : International Public Sector Accounting Standards Board 국제공공회계기준원회
  • IVSC : International Valuation Standards Council 국제가치평가기준위원회
  • IVS : International Valuation Standards 국제가치평가기준
  • WSS : World Standard-setters 국제회계기준제정기구

Contacts: 딜로이트 안진 금융산업연구소

상기 내용과 관련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에 기재된 연락처로 문의 주시면 친절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 조태진 Partner | Tel : 02-6676-3322 | E-mail : tajo@deloitte.com
  • 공선희 Partner | Tel : 02-6676-1264 | E-mail : sgong@deloitte.com 
  • 김재현 Partner | Tel : 02-6676-1175 | E-mail : jaekim@deloitte.com
  • 박재철 Partner | Tel : 02-6676-1159 | E-mail : jaepark@deloitte.com
  • 이형남 Partner | Tel : 02-6676-1268 | E-mail : hyunlee@deloitte.com
  • 김현웅 Director | Tel : 02-6676-1226 | E-mail : hyunkim@deloitte.com
  • 김현철 Director | Tel : 02-6676-3067 | E-mail : hyunchkim@deloitte.com
  • 최아름 Senior Manager | Tel : 02-6676-1278 | E-mail : ahchoi@deloitte.com 
  • 최희수 Senior Manager | Tel : 02-6676-1220 | E-mail : hechoi@deloitte.com

 

귀하께 도움이 되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