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월간조세 8월호 - 진정한 ESG 경영을 위한 이사회의 역할과 기업의 ESG 리스크 관리 및 기회 확보 방안

조세통람

(2021.08) 환경ㆍ사회ㆍ거버넌스(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이하 ESG) 이슈가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며, 경제ㆍ사회 전반의 대대적인 전환을 빠르게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2019년 9월, 유엔(UN)이 2030년까지 더 나은 지구를 만들기 위한 인류 공동의 목표로 2015년에 제시한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의 달성 노력을 가속화할 것을 촉구하는 ‘행동의 10년(Decade of Action)’을 선포하며 더 많은 탄력을 받고 있다. SDGs는 빈곤, 기아, 질병 등의 인류 보편적 문제와 기후변화, 에너지, 생물다양성 등의 지구 환경 문제, 고용, 경제 성장, 평화 등의 경제ㆍ사회 문제를 두루 포괄하는 국제사회적 과제로 전 사회 구성원 모두의 참여를 필요로 한다. 특히, ESG가 SDGs 이행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양 개념 간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것은 ESG가 SDGs 달성에 필요한 자금 조달과 이해관계자의 행동 변화를 촉구할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기업은 자금 지원부터 지속가능한 제품 생산 및 서비스 제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할을 가진 핵심 참여자로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기후 이상 현상 및 팬데믹 등이 가세하여 전 지구적 지속가능성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들에 대한 외부 압력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의 ESG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기업들이 취해야 할 구체적인 대응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1. 진정한 ESG 경영을 위한 이사회의 역할 - 백인규 한국 딜로이트 그룹 ESG 센터장
  2. 기업의 ESG 리스크 관리 및 기회 확보 방안 - 이옥수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이사

 

첨부파일을 내려 받으시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귀하께 도움이 되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