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ESG reporting essentials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과 비재무적 정보 공시환경의 변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주도로 개발 중인 국제회계기준(IFRS) 기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최종안이 오는 6월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비재무정보(ESG) 공시와 관련된 첫 글로벌 통합 표준으로 가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업 공시 환경 측면에서 대대적인 지각변동이 예상됩니다.
ISSB 최종안은 기업가치평가에 비재무적 정보인 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ESG) 요소들을 보다 엄격한 잣대로 비교 분석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틀을 제공한다는 상징성이 있습니다. 더 나아가 국가별 ESG 공시 의무화를 가속화 시킬 전망입니다. 2021년 1월, 한국의 금융당국도 2025년부터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를 시작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식 의무 추진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올해 ISSB가 발표할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은 먼저 ‘일반 요구사항(S1)’과 ‘기후 관련 공시사항(S2)’두 가지입니다. S1 일반 공시에서도 지속가능성에 대한 전반적인 기업 전략과 목표를 포함하고 있어 기업의 가치 산정에 있어 지속가능성이 떼어낼 수 없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번 발표에 있어 특히 주목해야할 부분은 특정 주제별 특화 공시기준의 첫 번째 주제로 기후 공시 S2가 가장 첫번째로 선보여진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ISSB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의 우선순위가 기후에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처럼 기후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공시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기후관련 공시(S2)에 대해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사항은 무엇일까요?
ISSB 기준은 TCFD 프레임워크에서 기업의 운영방식을 기준으로 마련한 네가지 표준을 핵심요소로 수용하고 있습니다.
기후 관련 공시사항(S2)의 네가지 핵심요소
One.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유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를 감독 및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배구조 과정, 통제 및 절차에 대해 정보를 제공합니다.
ESG를 관장하는 위원회나 이사회 감독기능을 통하여 지배구조 내에서 전사적인 기후 관련 기회요인과 위험요인을 관리, 감독할 수 있습니다. ESG 구동체계 전반과 기후 관련 전반적인 사항을 꾸준히 모니터링 하는 조직의 필요성이 대두됩니다.
ESG 위원회의 주요 역할은 기후 변화 전략 및 리스크 관련 안건을 심의하고, 기후 변화 관련 핵심 정책, 사업, 규정을 결의하는 것입니다. 이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변화를 추적하면서 기업 전반적인 지배구조 내에 ESG를 통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ESG 위원회의 주요 역할은 기후 변화 전략 및 리스크 관련 안건을 심의하고, 기후 변화 관련 핵심 정책, 사업, 규정을 결의하는 것입니다. 이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변화를 추적하면서 기업 전반적인 지배구조 내에 ESG를 통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Two.
전략 측면에서는 유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해당 위험 및 기회가 전략 계획에 포함되는지, 그리고 전략의 핵심인지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먼저 기업은 단기, 중기, 장기에 걸쳐 사업모형, 전략, 및 현금흐름, 자금조달 및 자본 비용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의적인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해 식별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의적인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해 식별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식별된 위험 및 기회가 기업의 가치사슬에 미치는 현재의 영향 및 예상 영향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 위험 및 기회가 집중된 가치사슬에 대해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유의적인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를 대응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사업모형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응계획에 자원을 제공할 방법에 대해 설명해야 하며, 목표 검토를 위해 시행중인 과정이나 배출량 목표 같은 기후 관련 목표를 제시해야 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유의적인 기후 관련 위험과 기회, 그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정한 전략들이 현재와 미래 예상되는 재무제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설정한 전략의 기후 회복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시나리오 분석 등의 툴을 통해 기업이 선택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이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의적인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에 대해 식별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식별된 위험 및 기회가 기업의 가치사슬에 미치는 현재의 영향 및 예상 영향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 위험 및 기회가 집중된 가치사슬에 대해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유의적인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를 대응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사업모형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응계획에 자원을 제공할 방법에 대해 설명해야 하며, 목표 검토를 위해 시행중인 과정이나 배출량 목표 같은 기후 관련 목표를 제시해야 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유의적인 기후 관련 위험과 기회, 그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정한 전략들이 현재와 미래 예상되는 재무제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설정한 전략의 기후 회복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시나리오 분석 등의 툴을 통해 기업이 선택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이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과 기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Three.
위험관리 측면에서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를 어떻게 식별, 평가, 관리하는 지와 이를 위험 관리 과정에 통합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여기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위험 및 기회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조직의 프로세스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식별되고 평가된 위험과 기회에 대한 우선순위 지정 방법에 대한 프로세스도 밝힐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이 위험들을 관리하는 조직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별도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나아가, 이 식별, 평가 및 관리의 프로세스가 조직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어떻게 통합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요구됩니다.
또한 이 위험들을 관리하는 조직의 프로세스에 대하여 별도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나아가, 이 식별, 평가 및 관리의 프로세스가 조직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어떻게 통합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요구됩니다.
Four.
지표 및 목표 측면은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를 측정, 감독 및 관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기업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먼저 지표는 산업 전반 지표와 산업 기반 지표 및 기타지표로 구성됩니다.
산업전반 지표는 산업 또는 사업모형과 무관하게 모든 기업이 공시해야 하는 일곱 가지 지표의 범주입니다. 이 일곱 가지 지표는 온실가스 배출량, 전환위험, 물리적 위험, 기후관련 기회, 자본배치, 내부 탄소 가격, 보상입니다.
산업기반지표는 11개 부문 68개 산업별로 부록B에서 상세하게 제시되며, 산업 설명, 공시 주제, 세부 프로토콜, 활동 지표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기타지표는 목표 달성을 위한 진척을 측정하기 위해 이사회 또는 경영진이 사용하는 그 밖의 지표를 의미합니다. 다음으로 기후 관련 목표는 진척의 평가 지표로서, 목표 및 목표의 목적을 명확히 밝히고 최신 국제 협약의 목표와 비교가 가능해야 합니다. 이 목표는 미래 지향적 데이터를 통해, 인식가능한 지표에 기반하여 정량적이고 정교하게 측정해야 하며, 적어도 5년에 한번은 검토 및 갱신하도록 권장됩니다.
산업전반 지표는 산업 또는 사업모형과 무관하게 모든 기업이 공시해야 하는 일곱 가지 지표의 범주입니다. 이 일곱 가지 지표는 온실가스 배출량, 전환위험, 물리적 위험, 기후관련 기회, 자본배치, 내부 탄소 가격, 보상입니다.
산업기반지표는 11개 부문 68개 산업별로 부록B에서 상세하게 제시되며, 산업 설명, 공시 주제, 세부 프로토콜, 활동 지표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기타지표는 목표 달성을 위한 진척을 측정하기 위해 이사회 또는 경영진이 사용하는 그 밖의 지표를 의미합니다. 다음으로 기후 관련 목표는 진척의 평가 지표로서, 목표 및 목표의 목적을 명확히 밝히고 최신 국제 협약의 목표와 비교가 가능해야 합니다. 이 목표는 미래 지향적 데이터를 통해, 인식가능한 지표에 기반하여 정량적이고 정교하게 측정해야 하며, 적어도 5년에 한번은 검토 및 갱신하도록 권장됩니다.
Five.
x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