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어떻게’ 돈을 버는 것이 중요한 시대
글로벌 ESG 공시 기준 발표 임박, 한국기업들 공급망 관리 지금 당장 대비해야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주도로 개발 중인 국제회계기준(IFRS) 기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최종안이 올 상반기 발표를 앞두고 있다. 비재무정보공시(ESG) 공시와 관련된 첫 글로벌 통합 표준으로 가능할 가능성이 높기 떄문에 기업 공시 환경 측면에서 대대적인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ISSB 최종안은 무엇보다 기업가치평가에 비재무적 정보인 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ESG) 요소들을 보다 엄격한잣대로 비교 분석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틀을 제공한다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국가별 ESG 공시 의무화를 가속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1월, 한국의 금융당국도 2025년부터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를 시작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 의무 추진계획을 밝힌 바 있다.
ESG 공시 의무화는 기업의 이윤 극대화라는 목표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돈을 버는 조건에 변화를 주게 된다. 바야흐로 무엇으로 돈을 벌 것인가 뿐만 아니라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를 함께 고민해야 하는 시대가 열린다는 의미다
ISSB가 발표할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은 크게 세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우선, ‘일반 요구사항(S1)’과 ‘기후 관련 공시사항(S2)’ 두 가지를 먼저 선보일 예정이다. S1 일반 공시에서도 지속가능성에 대한 전반적인 기업 전략과 목표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즉, 기업의 가치 산정에 있어 지속가능성이 떼어낼 수 없는 역할을 하게 된다.
둘째, 기후 공시를 별도로 하는 S2에서는 기업의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필수 공시 (Scope 3 )항목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기업의 조직 경계 내에서 발생하는 직·간접 배출량인 Scope 1·2 산정과 달리 기업의 통제 영역에서 벗어나 있는 공급망 배출량 산정의 경우 많은 한계점과 제약이 있기 때문에 당장 이를 적용해야 하는 기업에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IFRS S1과 S2 두 가지를 먼저 선보인 후 생물다양성과 인적 자본, 인권 등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특정 주제에 특화된 공시기준(S3, S4, S5…)을 순차적으로 추가 개발하여 발표할 예정이다. 결국 기존에 재무정보 위주로 진화해 온 기업 공시 환경의 변화 흐름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자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항목들이다.
글로벌 Fortune 500 기업들의 지속가능성 관련 보고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한 38%의 기업들 중 Scope 3 영역까지 다루고 있는 기업은 단 8%밖에 되지 않는다. 다행히 Scope 3에 대한 공시는 1년의 유예기간이 적용될 예정이지만, 산정 방법과 범위에 대한 명확한 체계 마련 등을 위한 준비를 고려한다면 공시의무를 가진 기업들에게는 충분한 시간이 아닐 수 있다.
명확한 체계 마련 등을 위한 준비를 고려한다면 공시의무를 가진 기업들에게는 충분한 시간이 아닐 수 있다.
그럼 국내 기업들은 공시 환경의 변화에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비재무적 정보 공시 의무화가 채 2년도 남지 않은 우리나라 기업에 시사하는 바는 명확하다. 통합 ESG 데이터 시스템 구축 여부가 기업의 기후행동을 위한 열쇠가 될 것임이 분명하기에, 한국기업들은 기후 공시를 위해 단순 데이터 취합이 아닌 체계적인 구조화와 모니터링 체계를 서둘러 도입함으로써 축적된 데이터에서 공시 및 평가기관 대응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한다.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중견중소기업들은 배출량 산정을 위한 온실가스 인벤토리조차 구축이 되지 않은 상황이기에, 딜로이트는 작년부터 중견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탄소 감축 목표 설정 방안, ESG 평가 대응 및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의 요구 수준 충족을 위한 마일스톤인 공급망의 ESG 경영 강화에 힘쓰고 있다. 또한, 국내 대기업들의 공급망을 포괄한 기후 리스크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딜로이트 또한 자체적인 플랫폼 개발을 추진중에 있다.
또한, ESG 공시 의무화를 준비뿐 아니라 진정한 의미에서의 ESG 경영 패러다임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글로벌 공시 기준뿐 아니라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규제 및 제도에 대해서도 충분히 극복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