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과학 기반의 목표 설정

당신의 비즈니스는 과연 이를 설정해야 하는가?

만약 지구가 중요 의사결정자가 된다면, 세계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 탄소배출량 한계를 어느 수준으로 설정할까요?

과학 기반의 목표 설정은 지구의 의사결정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기업이 설정한 일련의 목표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으로 나아가는 명확한 경로를 제공합니다. 기업이 앞을 내다보고 배출량 감축을 위한 역할을 다하는 방안을 모색하도록 도와줍니다.

과학 기반의 목표 설정을 도입하는 기업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CDP와 유엔 국제 협약, 세계자원연구소 그리고 WWF가 주도하여 과학 기반 목표 이니셔티브(SBTi)를 설립했습니다.

약 189개국이 세계 평균 기온 상승을 섭씨 2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파리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SBTi는 기업의 후속 목표가 파리 협정 및 최신 기후 과학에 의거한다는 점을 입증 가능하게 하며, 현재까지 1,000개 이상의 조직이 서명했습니다.

자연자본에 대해 알아야 할 다섯 가지
One.
설정된 탈탄소 목표의 유효성을 검증합니다.
과학 기반의 목표 설정은 공식적이고 검증된 접근법입니다. 당신이 설정한 목표는 SBTi의 승인을 받게 됩니다.
Two.
과학 기반의 목표 설정에 참여하기 위한 구체적 단계가 존재합니다.
먼저, 과학 기반의 목표 설정 의도를 설명하는 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목표를 설정하고 공식 검증을 받아야 합니다. 해당 목표를 공표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알려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사업 전반의 배출량을 보고하고 매년 진행 경과를 추적해야 합니다.
Three.
반드시 명확한 기준점이 있어야 합니다.
탄소 배출량을 측정할 때 신뢰할 수 있는 기준점을 수립해야 합니다. 기준점 수립 시 해당 년도가 당사의 과거 경제활동을 대표하기 적합한지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0년은 전세계적으로 이례적인 상황이었기 때문에 2019년을 기준점으로 선택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과학 기반의 목표 설정 이니셔티브는 기업의 소유 및 영향권 내 사업에서 발생되는 직접 및 간접 배출량(scope 1 및 2) 외에도 가치사슬 전반의 경제활동에서 발생되는 배출량인 Scope 3(가치사슬 배출량)에 대해서도 임계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감축 목표 설정에 포함하도록 합니다.
Four.
하나의 기준이 모든 곳에 통용될 수는 없습니다.
모든 이든 서로 다른 기후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감축 목표 설정이 탈탄소화 여정의 시작이지만, 과학 기반의 목표 설정이 모든 비즈니스를 위한 올바른 방향은 아닐 수 있습니다. 검증 과정에 시간이 소요되며, 일부 기업은 2050년 훨씬 이전에 scope 1, 2, 3 영역에서 탄소중립에 도달하는 등 자신에게 주어진 탈탄소화 몫 그 이상을 달성하길 원할 수도 있습니다.
Five.
자연에 대한 과학 기반의 목표 설정도 체계화 중입니다.
기후변화와 자연 손실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기업은 자연 기반 솔루션을 개발하여 탄소중립 목표 도달에 중요한 동반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45개 비영리 단체로 구성된 과학 기반의 목표 설정 네트워크가 물, 육지, 해양 그리고 생물 다양성에 대한 감축 목표 체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귀하께 도움이 되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