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기후변화 필수 지식

이 기후변화는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탄소배출량이 많지 않아 보통 수준의 기후변화만 일어난다고 가정해도 생태계 전반에 심각하고 파괴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의 여러 여파는 사실상 돌이킬 수 없으며, 해수면 상승, 해양 산성화, 해류 속도 감속, 건조지대화 및 가뭄, 빈번하고 강한 폭풍, 폭염 등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기후변화는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기온 상승 및 중요한 자연 시스템 붕괴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할 것이며 사람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위험들은 상호 작용하고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장기적인 누적 효과(cascading effects)를 만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가 사람에게 미칠 수 있는 심각한 영향에는 건강 악화, 도시 파괴, 기후난민의 발생, 식량 위기, 인프라 손상과 같은 커다란 문제들이 있습니다.

기후변화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탄소 배출의 주요 원인은 무엇일까요?

대기 중 대부분의 온실가스는 에너지, 교통, 건물, 식량 및 토지 사용, 산업 등 소수 핵심 경제 시스템에서 발생합니다. 전 세계 가장 부유한 10%가 1990년과 2015년 사이 누적 탄소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배출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IPCC는 기후변화 재앙을 피하려면 2100년까지 평균 기온 상승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C 이하로 제한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 세계가 2030년 이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0년 대비 절반으로 줄여야 하고, 2050년에는 대기 중으로 탄소를 더 이상 배 출하지 않는 '넷제로’(Net-zero) 수준에 도달해야 합니다. 온난화를 2°C 로 제한하려면 2030년 이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분 의 1로 줄여야 합니다. 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하려면 세계 경제 시스템, 특히 에너지, 교통, 농업에 대한 근본적이고 전면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이 넷제로의 여정에 기여하기 위해 비즈니스 리더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넷제로를 앞당기고, 기후변화 피해를 줄이고, 변화로부터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기업들은 아래 소개될 다섯 단계를 통 해 기후변화 대응책 개발을 위한 올바른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환 프레임워크의 5단계
One.
기후 변화를 위한 행동 다짐
기후변화를 위한 행동 다짐 단계는 최신 기후 과학 및 파리 기후 협 약에 따른 탈탄소화 목 표 및 적용 목표를 포함해야 합니다.
Two.
기후 변화 전략 수립
기후변화 전략은 기업의 전략과 일치해야 하며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를 활용해야 합니다. 전략이나 운영 측면의 기회를 파악 및 포착하는 동시에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는 전략이 수립되어야 합니다.
Three.
조직 모델 조정
조직 모델 조정 단계에서는 정보 시스템과 조직 프로세스(예: 비즈니스 사례, 조달, 투자 결정)가 투명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도록 해야 하며, 조직 전체의 기후 관련 이슈를 통합 관리해야 합니다.
Four.
위기를 관리하는 리더십
리더십은 기후변화 이니셔티브를 명확히 전달하는 능력을 갖추고, 그 실현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하며, 자신 감과 책임감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Five.
디지털 역량과 민첩성의 강화
정기 모니터링 및 보고는 기존 시스템에 내장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기후변화 이니셔티브의 효과를 명확 하게 검증하고 실시간으로 설정을 변경하여 성과를 개선할 수 있어야 합니다.

위의 다섯 단계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정기적인 검토와 조정이 필요하며, 주기적으로 프로세스를 반복해야 합니다. 

또한 최소 6개월에 한 번은 이해관계자들과 논의하여 대응 방향이 목적성에 맞는지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면 안 되고, 멈출 수도 없습니다. 저탄소를 달성한 미래에 기업이 더욱 발전하려면 혁신적이고 선구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산업 환경을 넷제로로 전환할 방법을 알아내고, 탈탄소화 속도를 높이면서 새로운 가치 창출 기회를 찾아내는 안목이 필요합니다. 저탄소 미래의 어느 지점에서 어떻게 승리할지 파악해야 합니다. 다만 ‘승리’를 위해서는 수익성, 성장성 및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만큼 범지구적 재앙을 피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귀하께 도움이 되었습니까?